본문 바로가기
블렌더

블렌더3D 4.4 #3. 탁상 시계 만들기

by Cray Fall 2025. 3. 23.

블렌더3D 프로그램을 다루려면 기초 조작법을 어느정도 익혀두어야 합니다만
왕기초 수준에서 간단하면서도 첫술에 배부를(?) 만한 물체를 만드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바로 이런 겁니다 :)

허공에 떠 있는 아주~ 심플한 탁상시계인데요 뭐.. 시간이 흘러가는건 아니고 정지 화면입니다.

하나 하나 익히는건 차차 진행하도록 하고, 이번 시간에는 이 작품(?)을 성공적으로 만드는걸 목표로 하겠습니다.

 

블렌더 프로그램 실행

그러면 블렌더3D 프로그램을 실행해 주세요.

처음 등장하는 타이틀 화면은 빈곳 아무데나 클릭, 가볍게 닫아 주시구요.

블렌더3D 화면이 짜잔~ 등장합니다.

어휴~ 이것저것 복잡한 계기판처럼 보이는 것들이 많지요?
각각의 개별 창마다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것인데요.
이걸 다 알아야 해? 라고 부담갖지 마시고
당장은 2개 창, 그것도 필요한 것만 사용할거니 전~혀 겁내실것 없습니다.

 

3D 뷰포트와 프로퍼티스 창

아래 빨간 테두리친 부분은 '3D 뷰포트'라고 하는데요.

이 창애서 실제 3D 모델의 모양을 보면서 잡아 늘리기도 하고 깎고 다듬는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아래 빨간색 부분은 '프로퍼티스', 한국말로 하면 '속성'이라는 창인데요.

이름이 왜 속성인고 하니, 3D 모델의 색상이나 위치 등을 디테일한 각각의 속성들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 밖에도 많은 것들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오늘 본문에 나오는 것들은 '3D 뷰포트''프로퍼티스' 창만 찾아보시면 됩니다.

 

큐브 크게 보기

'큐브'가 뭐요? 상자입니다. 영어로 Cube 이지요.
블렌더를 실행하면 나오는 기본 상자가 하나 있는데요. 이걸 큐브라고 합니다.

너무 작지 않아요?
거리가 멀어서 그런데요. 가까이 다가가야 편집하기가 좀 쉬울것 같습니다.
그럴 때는 '마우스 휠'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마우스를 3D 뷰포트 창 안쪽에 갖다 놓은 상태에서 휠을 돌려 보세요.

마우스 휠을 위로 돌리면 큐브가 커지고 아래로 돌리면 큐브가 작아질 겁니다.

사실 큐브 크기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큐브 근처로 가까이 다가갔다 멀어진 것 뿐이지요.
3D 모델을 편집할 때 이 기능은 매우 빈번히 사용하는데요.
자주 사용하면 그냥 감각적으로 익혀질 겁니다.

✨ POINT
(3D 뷰포트 안에서) 마우스 휠 돌리기 : 거리 조정

 

큐브 돌려 보기

하나 더 중요하고 빈번하게 쓰는 기능은 큐브 돌려 보기입니다.
3D 모델을 여기 저기 돌려보며 이곳 저곳을 확인해야 자유 자재로 편집할 수 있거든요.
3D 뷰포트 안에서 마우스 가운데 버튼을 누르고 마우스를 이리 저리 드래그해 보세요.

원하는 방향을 보는게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어요.
하지만 차즘 이것 저것 만들다 보면 역시 자연스레 익숙해질 겁니다.

✨ POINT
(3D 뷰포트 안에서) 마우스 휠 돌리기 : 거리 조정

 

한/영 상태 확인

본격적으로 작업 시작 전에 알아야 할 한가지가 있습니다.
블렌더는 단축키를 매우 자주 사용하는데요.
블렌더에서 단축키가 작동이 안되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한글/영문 입력 상태 때문입니다. 한글 입력 상태에서는 단축키가 작동이 안되거든요.
보통은 블렌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한/영 입력 상태가 영문으로 바뀌는데요.
작업표시줄에 한글/영문 입력 상태가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A'라고 표시된 경우 영문 상태인 거지요.

결론을 말씀드리면 영문 상태에서만 단축키가 작동합니다.
중간에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한/영키를 눌렀거나 다른 이유로 아래처럼 '가'로 표시된 경우 한글 입력 상태이니
다시 한/영 키보드를 눌러 영문 입력 상태로 바꾼 후 작업해 주시면 됩니다.

✨ POINT
한글 입력 상태에서는 블렌더 단축키가 작동이 안된다.

 

크기를 키워보자 !

이제 실제 큐브 크기를 조정해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따라해보세요.
1) 마우스를 큐브 중심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로 이동합니다.
※ 마우스가 큐브 중심에 너무 가까우면 조정이 어렵거든요.

2) 키보드의 S, X 키를 차례대로 누르고 마우스를 움직이면 상자 크기가 한쪽으로 커지다 작아지다 합니다.
3) 적당한 크기로 조정 후 마우스 버튼을 클릭, 고정해 주세요.

이렇게 하면 3D 모델의 한쪽 방향으로 크기를 키울 수 있습니다.
만약에 조정이 잘못되어 이상하게 되었다면 단축키 Ctrl + Z 키를 누르세요.
그러면 바로 전 단계로 되돌릴 수 있어 다시 시도해보실 수 있습니다.

✨ POINT 1. 크기 조정하기
1) S, X : 한쪽방향 크기조정 시~작!
2) 마우스를 움직여 크기 조정
3) 마우스 클릭 끝!

✨ POINT 2
Ctrl + Z : 이전 단계로 되돌리기

 

다듬이 도구 베벨을 써보자!

아제 프로퍼티스 창의 진가를 발휘할 때가 왔습니다.
프로퍼티스 창은 3D모델의 속성을 정해준다고 했지요?
오늘은 그 중 모디파이어를 이용해 재미난걸 해볼 겁니다.
아래와 같이 생긴 아이콘을 모디파이어라고 하는데요.

아래와 같이 해보세요. ( 실습 )

1) 프로퍼티스 창의 모디파이어 아이콘 클릭
2) 모디파이어를 추가 버튼 클릭
3) 생성 - 베벨 메뉴을 선택합니다.

엇, 그러자 큐브의 모난 부분이 마치 깎은 듯한 모양으로 바뀌었네요.
이런 걸 베벨 모디파이어라고 부릅니다.

깎는 정도의 부드러움이나 깎는 크기 등 세밀한 부분도 조정할수 있지만 넘어가겠습니다.

✨ POINT
프로퍼티스 창에는 모디파이어라는 재미난 기능이 있다.
베벨 모디파이어를 선택하면 상자 표면을 깎을수 있다.
베벨 모디파이어는 모디파이어 추가 버튼 - 생성 - 베벨을 선택한다.

 

글자 추가 / 두껍게 하기

이제 시각을 표시할 글자를 추가할 겁니다.
따라해 보세요
1) Shift + A 키 입력
2) 텍스트 메뉴 선택

텍스트라는 글자가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노란 테두리가 큐브에서 텍스트로 바뀌었네요.
이를 '선택된 상태'라고 하겠습니다.

글자를 너무 얇습니다. 두께를 주어보겠습니다.
이럴 때는 솔리디파이 모디파이어를 적용하면 되는데요.

모디파이어 아이콘을 선택 후 진행하면 됩니다.

1) 모디파이어를 추가 버튼 클릭
2) 생성 - 솔리디파이 메뉴 선택
3) 두께 항목의 눈금 가운데 지점 클릭, 좌우로 드래그하여 글씨 두께 조정

아래와 같은 정도로 글씨 두께를 조정해 주시면 무난합니다.

 

✨ POINT
글씨 추가 : 단축키 Shift + A, 텍스트 메뉴 선택
글씨 두껍게 : 모디파이어를 추가 - 생성 - 솔리디파이 선택, 두께 조정

 

글자 세우기, 위치 조정, 글자 변경

글자가 드러누워 있으니 똑바로 세우겠습니다.
글자를 세우려면 회전을 하면 되는데요.
R, X, 9, 0, Enter 키를 차례대로 입력해 보세요.

텍스트를 큐브 앞쪽으로 조정하겠습니다. ( 실습 )

1) 큐브 앞면이 잘 보이게 마우스 가운데 버튼을 클릭하여 화면을 조정합니다.
2) G, B 키를 누릅니다.
3) 마지막 글자 끝지점에 마우스를 대면 사각형 표식이 표시됩니다. 클릭하세요.

4) 마우스를 움직여 큐브 앞에 대면 동그라미 표시가 보입니다.
가운데 적당한 위치를 클릭하면 글자가 딱 큐브 앞에 고정됩니다.

Snap base 가능 - GB, 지점1큻릭, 지점2클릭

글자 내용을 바꿔보겠습니다
1) TAB 키를 눌러 텍스트 편집 상태로 전환합니다.
2) backspace 키를 3번 눌러 글자를 지운 다음
3) 원하는 시각을 입력해 주세요. 예를 들면 14:25처럼 입력합니다.
4) 다시 TAB 키를 눌러 텍스트 편집 상태를 해제합니다.

아래와 같이 글자가 큐브 앞에 표시되었습니다.

글자 내용이 달라져 위치가 가운데가 아니군요.
앞에서처럼 G, B 키를 누르고
글자 끝 지점 클릭, 큐브 앞 적당한 위치로 이동 클릭해서 위치를 조정해 주세요.

✨ POINT
G, B 키를 누르고 모델1 끝 지점 클릭, 모델2 붙일 지점을 클릭하면
모델2 표면에 딱 붙일 수 있습니다.

 

렌더 미리보기와 환경텍스쳐

3D 뷰포트 창 우측 상단에는 뷰포트 셰이더라고 해서 4개의 보기 방식을 지원하는데요.
현재 2번째 셰이더가 선택되어 있습니다.

4번째 아이콘을 선택해보겠습니다.

화면이 어두침침해지면서 명암이 뚜렷해졌습니다.

마우스로 빈 공간을 클릭하여 글자가 선택된 상태를 해제합니다.
그러니 글자가 거의 안 보입니다.

현실세계의 낮은 이곳 저곳 사방에서 다양한 각양 각색의 빛이 비춰옵니다.
그런 방식으로 3D 모델을 보려면 '환경텍스쳐'를 이용해야 하는데요.

먼저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 해 주세요.
hdri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멋진 환경텍스쳐입니다.

brown_photostudio_02_4k.exr
19.23MB

아래와 같이 진행해 주세요.
1) 프로퍼티스 창의 월드 아이콘을 선택


2) 컬러 항목의 점 아이콘 선택

3) 환경텍스쳐 메뉴 선택

그러면 프로퍼티스 창이 아래와 같이 바뀝니다.

열기 버튼을 클릭하면 윈도우 탐색기 비슷한 블랜더 파일 보기 창이 열리는데요.
금방 다운받은 환경텍스쳐 파일을 더블클릭합니다.

3D 뷰포트가 칙칙한 어두운 광경에서 아주 화사하게 바뀌었습니다.
이는 현실처럼 사방에서 다양한 빛이 비추기 때문입니다.

 

 

메테리얼 적용 1

보통 그림을 그릴 때는 '색상을 칠한다'라고 표현하지요.
3D 모델은 표면의 색상 외에도 광택이나 반사, 거친 질감 등 종합적인 걸 고려해야 하기에 이를 메테리얼(Material : 질감)이라 부릅니다.

시각을 나타내는 글자를 파란색 메테리얼을 적용하겠습니다.

1) 3D 뷰포트에서 글자 모델를 선택합니다. 

2) 프로퍼티스 창에서 메테리얼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3) 새로운 버튼 클릭
4) 색상 항목흰색 영역을 클릭
5) 색상 선택 영역에서 파란색을 선택합니다.

글자 색상이 바뀌었습니다.

✨ POINT
프로퍼티스 창의 메트리얼 탭에서 3D 모델 표면에 입힐 재질을 만들수 있다.

 

메테리얼 적용 2

이걸로 좀 밋밋하니 삐까 번쩍하게 반사광이 나게 하겠습니다.

1) 거칠기 항목값을 클릭, 0으로 변경하고
2) 금속성 항목값을 클릭, 1로 변경해 주세요.

글자 표면이 변경되었을텐데요.
확대해서 이리 저리 돌려보시면 광택이 느껴지실 겁니다.

 

메테리얼 적용 3

큐브도 광택을 적용하겠습니다.

1) 3D 뷰포트에서 큐브를 선택합니다.

2) 큐브는 흰색 메트리얼이 기본 적용되어 있습니다.
앞에서처럼 거칠기를 0.05, 금속성을 0.5 값으로 바꿔줍니다.

그러면 큐브의 표면이 광택이 적용되어 바뀌는걸 보실 겁니다.
이로서 작품(?)이 완성되었습니다. 이리 저리 돌려보면 방향에 따라 주위 빛이 반사되어 비추는 걸 보실 겁니다.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
나름 길다면 길 수도 있는 과정인데 좋은 경험이 되셨는지요? :)
다음 시간에는 차근차근 기초 조작법부터 익혀보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오늘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크레이가 새로 출석하기로 한 인천의 주안장로교회에서 이번에 큰 행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바로 '예수 사랑 큰 잔치'인데요.
작년 행사를 보니 태진아, 이성미와 같은 연예인분들도 와서 행사 무대를 빛내 주신것 같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아직 예수님을 믿지 않는 분들을 초청하여 구원의 복음을 권면하고 있는데요.
예수님 믿기로 하는 결단에는 어떤 강요도 없습니다.
다만 말씀에 감동을 받는 분들께서 자의로 결신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성경에서는 말씀합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 말을 듣고 또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 심판에 이르지 아니하나니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느니라
- 요한복음 5장 24절 말씀 -

크레이는 이 말씀을 믿습니다.
예수님의 말씀, 성경 말씀을 듣고 믿는 것을 하나님께서 귀하게 보시고 구원을 주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인생길 주인 되셔서 천국의 길로 인도하시는 분이 바로 하나님이십니다.

아직 예수님을 믿지 않으시거나 교회를 한동안 멀리 떠난 분들께서 이 글을 읽고 계시다면
주님 되신 예수님을 받아들이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소망합니다.

Cray Fall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